01/02. 동기의 3c와 측정 및 분석 방법

2024. 9. 12. 20:45I-O Psychology/동기관리와리더십

동기: 움직이는 힘 따라서 변화(change)되는 과정(process)임
동기 motivation->목표 goal->노력/추구 striving->성과 performance
이 전체 프로세스에서 각 이론이 설명하는 요소 및 영역이 다름

 

3c: context content change로 동기를 설명할 수 있음
context-based approach social organization team의 맥락에서 이루어짐


 

이론, 방법, 통계가 서로 맞지 않는 경우가 많음

이론에 맞춰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 맞으나 심리학이라는 학문의 특성상 쉽지 않음

 

동기의 강도, 방향, 지속성

강도: 대부분의 연구는 동기의 강도에 초점을 맞춤

방향: 친조직적 행동(+), 반조직적 행동(-)

지속성: 동기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유지되는지, 어떻게 변하는지

 

동기의 측정하는 네 가지 방식

주관적: 피평가자가 응답을 하는 방식

객관적: 객관적인 측정

암묵적: 전문가가 필요하며 해석이 필요함, 피평가자가 무엇이 평가되는지 모름

명시적: 피평가자가 무엇이 측정되는지 알고 있음, 

 

 

Theta는 노력/능력을 의미함 -> 따라서 개인의 능력을 측정하는 데 많이 씀

즉, 3만큼 노력한 사람은 5를 선택할 확률이 약 90%

선이 뾰족할수록 검사 문항의 변별력이 높음

 

세로축=time 1, time 2, time 3

가로축=사람 1, 사람 2, 사람 3

 

multilevel 연구는 context 밝혀내는 연구

change 밝혀내는 연구

 

 

원과 네모: measurement 문제

화살표: analysis 문제

 

multilevel에서의 비독립적 요소: 팀이나 조직 내의 분위기로 인해 비독립적으로 행동할 수밖에 없는 종업원의 동기가 있음, 따라서 비독립적인 요소는 e로 제거해야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