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 Psychology/판단과 의사결정(4)
-
[판단과 의사결정] 04. 판단과 선택에 미치는 정서의 영향
1. 경험효용1.1 Kahneman과 Snell의 효용의 종류- 결정효용(decision utility): 어떤 선택을 할 때, 그 선택이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는 효용. 즉, 사람들이 선택의 기준으로 삼는 효용 - 경험효용(experienced utility): 어떤 선택의 결과로 실제로 느끼는 감정적 만족감. 즉, 경험 중 또는 경험 직후에 느끼는 행복이나 불쾌함- 예측효용(predicted utility): 어떤 경험을 하기 전에 예상하는 효용, 즉 "이걸 하면 행복할 거야!"라는 미래에 대한 감정적 예측 1.2 Kahneman과 Snell이 제안한 인간의 선택의 문제- 효율성(efficiency): 사람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선택하는가의 문제로 결정효용과 경험효용의 일치하는가를 의미함- 합리..
2025.04.08 -
[판단과 의사결정] 03. 판단 2: 대안적 접근
6.1 스마트한 휴리스틱Gigerenezer Tversky와 Kahneman의 연구방법과 결과에 의문을 제기함연구결과에 대해 사람들이 판단에서 편향을 보이는 것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양식으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음(Gigerenezer & Hoffrage, 1995)동일한 의사결정 문제에서 Tversky와 Kahnemans는 관련 정보를 확률로 제공하였으며, Gigerenezer는 동일한 정보를 빈도로 제시함빈도가 진화론적으로 보았을 때 인간에게 더 익숙한 형태의 정보양식이라고 주장함사람들이 빈도 자체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빈도에 대해 어느 정도의 정보처리가 일어나는 정보 처리 인지알고리즘이 있음을 시사하며 이 주장을 지지하는 연구 결과도 있음(Hasher & Zacks, 1979..
2025.03.25 -
[판단과 의사결정] 02. 판단 1: 휴리스틱과 편향
5.6 사후판단 편향(hindsight bias)사후판단 편향: 사람들이 이미 나타난 결과에 대해서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결정론적으로 판단하는 것 사후판단 편향이 발생하는 이유자기 본위 편향(self-serving bias): 자신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정보를 해석하거나 결과를 평가하는 인지적 오류 더 holistic한 사고-통합적이고 종합적인 인지 양상-를 할수록 많이 발생함
2025.03.18 -
[판단과 의사결정] 01. 행동적 의사결정 연구의 시작
1. 판단과 의사결정이란?: 나에게 주어진 자원을 어떻게 하면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 의사결정에 대한 모델링: 경제학에서 시작됨 -> 인간이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지에 관심을 가짐: 기존의 심리학에서 의사결정 연구는 형이상학적인 연구였음 (예: 상담을 통한 관찰 등) -> 현재는 기술적 이론을 바탕으로 인간이 실제로 어떻게 선택하고 행동하는지 연구함 1.1 경제학의 선택 연구1.1.1 경제학의 규범적 이론: 인간은 합리적인 주체이며,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함 (예: 기대효용이론), 인간의 선택이 수식에서 얼마나 벗어나고 수식에 맞게 선택을 하려면 무엇이 바뀌어야 하는지를 연구함 1.1.2 기대효용이론- 장점모델이 간명함 - 기대효용이론의 공리선택대안에 대한 ..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