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목표와 의사결정 그리고 목표 설정 goal setting

2024. 9. 26. 20:44I-O Psychology/동기관리와리더십

목표 프레임

1. 나는 이 정도 할 거야, 라고 하는 이상적인 부분에 대한 프레임

2. 비교하는 관점에서(norm; 규준) 목표를 잡는지에 대한 프레임

3. 성과 목표(성과목표/학습목표)

- 성과목표: 가시적인 목표의 관점

   수행회피목표지향: 타인한테 무능해 보이지 않기 위한 목표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실패하지 않기 위한 목표에 초점을 맞춤

   수행증명목표지향: 타인한테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기 위한 목표에 초점을 맞춤

- 학습목표: 배우고자 하는 관점의 목표이기 때문에 개방성을 띔

4. autonomous/controlled

- 지르는 방식으로 목표를 세우는 성향

- 심사숙고 해서 목표를 세우는 성향

 

목표의 성공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능력 지식 및 기술

- 모두 객관적인 능력 지식 및 기술을 의미함

2. 경험

-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요인

- 성공 경험이 없는 사람은 사회인지이론을 활용하여 롤모델링과 같은 방식을 통해 종업원을 설득할 수 있음

3. 인식된 조력자 및 장벽

 

 

의식적 목표 선택: 합리적인 선택

기대 유인가 이론 = 규범적 의사결정 모형/ 여기서 기대는 추후에 나올 '효능감(성공 가능성에 대한 신념)'과 같은 개념

- 개인이 노력하는 정도와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성과 간에 존재하는 관계에 대한 지각에 기초하여 개인의 행동을 설명하는 동기 이론

- 경제적 합리성이 위배되는 의사결정 과정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음

 

이미지 이론

- 기대효용이론에 기반을 둔 전통적인 의사결정이론에 대한 대안이자 도전으로 개발됨

- 의사결정이 의사결정자 개인이나 집단의 가치와 신념들에 의해 인도된다고 봄

- 즉, 의사결정자는 자신의 가치와 신념들의 경계 내에서 목표달성을 위한 행동경로를 채택하게 됨

- 첫째, 가치 이미지는 의사결정자가 가지고 있는 원칙(예: 신념, 가치, 도덕기준, 윤리, 규범 등)

이 원칙은 채택가능성 있는 대안적인 목표와 계획들의 설계 및 후보 대안의 채택에 관한 의사결정에서 적절성의 판단기준으로 작용함

- 둘째, 경로 이미지는 의사결정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미래의 상태에 대해 기술한 목표 의제(goal agenda)

이 목표 이미지를 통해 어떤 행동이 적절하고, 어떤 행동이 적절하지 않은지가 결정됨

- 셋째, 전략 이미지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채택된 여러 가지 다양한 계획, 계획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 전략이 가져올 결과에 대한 예측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계획은 목표의 채택으로부터 목표 달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동으로 구성된 추상적인 과정

전략은 계획에서 요구되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행동

예측은 계획과 전략을 선택하는 경우 발생될 미래의 결과에 대한 예측을 의미함

 

  목표 몰입 ★

- 목표 달성을 위한 효과적인 행동을 하게끔 조절을 해 줌

- 동기의 강도 지속성 방향을 유지하게끔 하는 원천

-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의지, 행동, 과정 등

- 자기효능감이 있어야 목표 몰입을 할 수 있음

 

MBO: Management by Objectives -> 목표 몰입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음

↓ 따라서 이 부분을 경영에서 보완하기 위해 만든 것

OKR: Objective and Key Result / 소명, embeddedness, job crafting의 개념과도 비슷함

 

구성원들이 숙달목표(학습목표지향적)를 가지게끔 동기부여 할 수 있는지

실패를 용인해 주는 환경 / 피드백(과정에 대한 피드백) 

-> 이런 것들을 만들어 주는 환경을 성장 마인드셋이라고 함

 

개인의 목표가 상충되는 경우 (무의식적인 측면)

- 한 회사 내에서 여러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에 

- 메타 인지가 강조되며, 상위의 개념과 정체성이 무엇인지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됨 -> goal의 hierarchy를 봐야 됨

 

개인의 목표와 팀의 목표가 상충되는 경우

- 목표 설정에서 나아가서 태도/문화 요소들로 넘어가야 해결할 수 있음

 

추후 고민해야 하는 방향

- goal hierarchy

- goal 자체가 높아지는 것 (goal setting의 영향만 현 챕터에서는 논의하고 있음)

- temporality (다음 챕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