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동기연구의 이론적, 응용적 지향점

2024. 9. 19. 21:06I-O Psychology/동기관리와리더십

1. 목표설정이론

- 핵심: 도전적이고 구체적인 목표의 중요성

- 이로 인해 목표를 중단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음

- 실패했을 때 개인의 반응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않음

 

2. 기대 (유인가) 이론

- 구성원 개인의 동기부여의 강도가 성과에 대한 기대와 성과의 유의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하는 이론임

- 내가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더 매력적일까, 즉 선택의 동기에 대한 이론

 

3. 공정성 이론

- 핵심적으로 이야기 하면 불공정성 이론

- 과소보상 불공정이 행동을 더 쉽게 예측함 

- 내가 받은 게 남이 받은 것보다 적으면 불쾌감이 들고, 내가 받은 게 남이 받은 것보다 크다 하더라도 그것에 죄책감을 느끼고 수행을 더 하거나 하지는 않음

- 동기와 정서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존재이고, 불공정은 정서를 자극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정 정서가 어떻게 변하는지 연구 필요

 

→ 세 개의 이론에서 연구되지 않은 부분들이 종단적 연구를 통해 해결될 여지가 많음

 

가정(assumption)은 임시적인, 그렇다고 믿는 연구자의 관점

가설(hypothesis)은 검증 및 반증이 가능한 연구를 위한 명제

 

성과의 역동은 대부분 동기에 의해 일어남

합리적: 체계적으로 간다

비합리적: 랜덤으로 갈 수 있다

 


 

토론 주제 제안

: 높은 목표 수준은 장기적으로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 신체 및 정서적 소진이 있으니까 높은 목표 수준을 설정하는 것을 자제하도록 권장하는 게 맞을지, 혹은 소진이 있더라도 종업원에게 높은 목표 수준을 설정하도록 권장하는 게 나을지

 

주장: 조직 및 개인의 차원에서 소진을 다루는 것은 당연히 중요하나 양자택일의 조건에서 고르자면, 높은 목표 수준은 단기적으로는 신체 및 정서적 소진으로 인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결국 장기적으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본다.

 

근거1. 목표설정이론에서는 성과가 높은 사람이 이후의 목표를 더 높이 설정한다고 얘기한다. 즉, 동기의 기반이 이전 수행을 기반으로 한 자기평가와 믿음이든(학습목표지향성), 타인으로부터의 호의적 평가이든(성과목표지향성) 높은 목표를 설정한 개인은 이미 높은 성과를 달성한 개인일 경향성이 높기에 이러한 경험 및 동기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근거2. 목표 달성을 실패하거나 높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소진이 있다고 하더라도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결국 목표 달성 여부와 상관 없이 더 높은 목표를 설정하면 성과가 향상되는 것이 드러난다. 동기를 연구하는 이유는 성과 향상을 위해서라고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에 높은 목표 수준을 설정하여 종업원의 성과가 향상된다면 그 자체만으로 긍정적이지 않나 라고 생각하였고, 이러한 연구 결과들로 인해 조직은 높은 목표 수준을 설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무시할 수 없지 않나 라고 보았다.

 

근거3. 높은 목표 수준으로 인해서 어려움을 겪을 수는 있지만 그것이 퇴직과 같은 부정적인 성과의 주요한 이유가 되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다. 사회생활을 한 기간이 길지는 않지만 지금까지의 경험 및 주변의 이야기로는 신입이든 중고신입이든 조직이 주는 높은 목표 수준은 유의미한 동기부여가 되어 주었던 것 같다. 단기적으로는 힘들더라도 앞서 말했던 연구 결과처럼 목표 달성 여부와 상관 없이 더 높은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성과 향상의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성취감과 긍정정서로 인해 조직에 더 몰입할 수 있었다고 본다. 일이 힘들어서 떠나냐, 사람이 힘들어서 떠나지. 이런 말처럼 높은 목표 수준 자체가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성과와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리더의 측면에서 팀의 관계적인 역동을 긍정적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 오히려 중요하며, 종업원들이 높은 목표 수준을 지향할 수 있도록 조직에서 권장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