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심리학 08-1. The psychological and neurological bases of leader self-complexity and effects on adaptive decision-making.

2024. 5. 12. 16:56I-O Psychology/조직심리학

Hannah, S. T., Balthazard, P. A., Waldman, D. A., Jennings, P. L., & Thatcher, R. W. (2013). The psychological and neurological bases of leader self-complexity and effects on adaptive decision-mak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8, 393–411. http://dx.doi.org/10.1037/ a0032257

 

연구 목적: 무엇이 개인을 더 또는 덜 적응하게 만드는지에 대한 합의는 덜 이루어짐.  이에 리더의 복잡성이 적응의 핵심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리더의 복잡성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리더의 변화에 대한 적응을 예측하는 리더 복잡성 이론을 제시하고 검증함

 

개념 정리

적응(adaptation): 개인이 자신의 행동과 변화하고 불확실한 업무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새로운 업무 요구와 종종 정의되지 않은 문제 사이에 어느 정도 적합성을 달성하는 과정. 개인의 적응 능력, 즉 개인의 적응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는 명시하고 있지 않음

차별화(differentiation): 특정 인지 영역의 기초가 되는 다양한 고유 차원을 결정하는 능력을 의미함. 차별화는 통합, 즉 이러한 차원 간의 관계 또는 상관 관계를 인식하고 종합하여 역동적이고 변화하는 맥락에서 더 깊은 수준의 상황 인식 및 이해를 달성하는 능력

분화: 리더로 하여금 사회적 맥락이라는 캔버스의 색, 모양, 음영을 보게 해줌. 분화를 통해 리더는 각기 다른 요소들의 공통점과 주제를 찾을 수 있으며, 리더십 문제의 표면적인 구조와 심층적인 구조를 동시에 지각할 수 있게 됨

통합: 리더로 하여금 색, 모양, 음영으로부터 통합되고 의미 있는 그림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줌

 

자아(self): 리더가 자신의 다양한 사회적 역할과 그러한 역할과 관련된 지식, 기술, 능력 및 자기 규제 시스템을 조직하는 구

조를 제공해줌. 독특한 신경학적 토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리더가 심리적으로 자아 개념을 구성하는 풍부함과 복잡성의 수준을 반영함. 구체적으로, 리더가 자신을 특징짓는 역할의 폭과 각 역할에 포함된 자기 측면(예: 기술, 특성, 속성, 자기 조절 구조)의 폭에 따라 자아 개념은 다소 복잡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음. 자아는 리더가 보이는 표면적 수준의 관찰 가능한 특성과 행동과 리더가 상황에 대한 정교한 이해를 구성하고 광범위한 사고와 행동의 레퍼토리를 이끌어내는 심층적 메타인지 구조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기 때문에 LSC가 리더의 효과성에 중요하다고 여겨짐

-> 따라서 자아 개념은 리더의 자기 조절과 성과에 핵심적인 역할을 함

 

역할(role): 주어진 사회적 맥락에서 기능하는 데 필요한 행동, 기술, 태도 및 기타 요소의 집합. 특정 위치에 있는 사람은 시간이 흐르며 역할 조합을 형성하게 되며 역할에 포함된 능력들은 통합되고 조직화 되어 리더의 정체성과 목표, 자기조절계획 및 리더 자기 복잡성으로 확장됨

 

인지적 복잡성(cognitive complexity): 개인이 복잡한 영역에서 지각적, 추상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차별화하고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함. 영역은 좁은 의미의 업무나 업무 그룹을 넘어서 확장된 세트를 의미함

 

리더 자기 복잡성(LSC): 자기복잡성 및 정체성 이론, 정보 처리 및 자기조절이론, 역할이론을 포함한 임상 및 사회심리학 연구 분야를 기반으로 한 개념임. 리더가 자신의 자아 개념을 구조화하는 데 있어 풍부하고 복잡한 수준을 반영함. 사회적 학습을 통해 형성된 고유하고 위계적인 인지적 구조이며, 역할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리더 자기 복잡성을 확장한다는 것을 의미함

->부분적으로 리더의 자아 개념에 기초하고 있으며 시간에 따라 분화됨

->역할에 따라서 변신이 가능한 리더

 

= domain specific한 변인

= self라는 개념이 들어갈 때는 그만큼 관념적으로 복합적인 게 많아서 어떤 영역이 이 변인을 의미한다 말하기 쉽지 않음

=리더라는 역할에 관한 self complexity

=따라서 리더십과 연결지어서 생각해야됨

=저 사람 타고난 ~~야/천상 ~~야 -> 현대 사회에서 좋은 리더는 아닐 수 있음

=변화가 많은 시대의 리더십은 달라야 함

 

=대체적으로 복잡성을 의미하기 때문에 긍정적 변인임

=안정적이고 단단한 개념은 부정적인 것보다 긍정적인 게 더 큼

=복잡성이 높을수록 견디는 힘이 크기 때문에 긍정적임

=다만, 복잡성이 낮다고 해서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님

 

 

 

 

 

이론 정리

리더 적합성 모델

- 리더의 발달:  유기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하고 더 큰 복잡성을 달성함으로써 변화하는 환경에 성공적으로 대응하는 유기체의 성장과 유사하다고 주장함

- 따라서 리더 복잡성의 심리적, 신경학적 지표를 조사하기 위해 리더의 복잡성을 연구해야 함

- 리더의 내부 프로세스와 리더 간의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데 있어 리더 자기 복잡성(leader self complexity; LSC)를 조사함

-> 높은 수준의 복잡성이 역동적인 의사결정 상황을 이해하고 이에 적응적으로 대응하는 리더의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예상함

 

자아 복잡성 이론: 자아 개념을 정보 처리와 자기 조절을 독특하게 주도하는 고도로 분화된 구조로 평가함. 이는 자아 복잡성을 구성하는 자기 관련 지식이 다른 형태의 인지 복잡성과 비교했을 때 더 풍부하고 두드러진 특징이 있어 정보 처리와 자기 조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

 

가설

-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뇌 기능의 파생물인 신경학적 LSC가 역동적이고 변화하며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을 처리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고(Daffner 외, 2003), 모호성을 줄이고 의미 있는 결정을 내리고(Damasio, 1996), 사회적 행동과 정서적 처리의 다른 측면을 관리함으로써(Tranel, Bechara, & Denburg, 2002) 리더의 적응력을 향상시킨다고 예상함

- 높은 수준의 복잡성이 역동적인 의사결정 상황을 이해하고 이에 적응적으로 대응하는 리더의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예상함

 

연구 방법

- 정신(심리) 측정 및 신경학적 과정(정신 활동 및 행동) 측정 

- 다중방법접근방식을 사용함

- 임상 및 사회 심리학의 기법을 통합하여 심리적 LSC의 지수를 만듦

- 신경 영상 기법(정량적 뇌파 검사 또는 qEEG)을 사용하여 자기 관련 지식과 정보 처리, 자기 조절 기능, 의사 결정 및 행동을 지원하는 영역과 주파수에서 내재적 뇌 활동의 신경학적 기반 지수를 도출함

- 역동적인 리더십 시나리오에서 적응적 의사결정으로 운영되는 리더의 적응력에 대한 심리적 및 신경학적 LSC의 영향을 평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