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심리학 01-1. 조직사회화와 멘토링

2024. 3. 15. 01:02I-O Psychology/조직심리학

Taking Stock of Two Relational Aspects of Organization Life: Tracing the History and Shaping the Future of Socialization and Mentoring Research.

 

교수님 말씀 정리

- 사회화는 사회의 흐름에 따라 변동됨

 

- 조직 사회화의 차원

역사: 조직의 연혁, 쌓아온 전통과 문화, 다른 차원과도 연계성이 있음

언어: 속어, 약어, 전문 용어 ex. 군대 "조치해와"

사람: 사람들 간의 관계와 문화 ex.포스텍

정치: 사회(조직)를 알아가는 방식

기타: 조직목표와 가치, 직무 수행 숙련성

= 어떤 차원의 사회화를 구성원이 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조직사회화는 구성원의 태도에도 영향을 미침

 

- 조직 사회화 책략

개인적 vs 집합적: 개인으로 사회화를 할지 혹은 여러명을 한 번에 사회화 할지

공식적 vs 비공식적: 온보딩과 같이 회사에서 공식적으로 진행되는 사회화 프로세스를 거치는지 혹은 조직 내에서 OJT(on the job training) 교육처럼 선배나 직속 상사에게 받는 사회화

순차적 vs 무선적: 대학교에서 학년에 따른 권장되는 수업을 듣는 것처럼 순차적으로 조직 사회화를 하는지 혹은 그런 단계가 명확하지 않은 과정을 거치는지

고정적 vs 변동적: 사회화 과정에서 어느 시기에 특정한 변화가 생길지 구성원들이 아는지 혹은 부서 이동과 같은 변화의 전환점을 예측할 수 없는지

연속적 vs 분리적: 기존의 구성원이 새로운 구성원에게 자신과 유사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지 혹은 기존의 역할 모델의 부재나 선임과는 다른 새로운 역할로 기존과는 분리하여 훈련시키는지

수여적 vs 박탈적: 개인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고 변화를 요구하지 않는지 폭은 새로운 조직구성원을 변화시키려고 하는지 ex. 유니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94181&cid=41991&categoryId=41991

 

조직 사회화

개인이 외부인에서 조직 구성원으로 전환되는 과정으로 넓은 의미에서 사회화는 조직의 문화를 학습하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회화는 문화적 적응(acculturation)과 같은 의미를 띤다. 또한 새

terms.naver.com

 

- 비공식적 멘토링에서는 멘토의 유무부터 확인해야 하며, 공식적 멘토링에서는 멘토는 분명히 존재함

- 멘토는 사수/부사수의 개념과는 다름

- 따라서 멘토링의 상황에서는 supervised=조직장 unsupervised=선배 라고 칭하는 것이 좋음

 

- 미래의 조직사회화 및 멘토링의 연구

사회화는 발달 과정이기 때문에 종단 연구가 필요함

ICT는 10년 전 이야기라고 생각하면 됨

daily experience sample의 단점은 매일 매일 참가자들이 질문지에 답변하는 것이 어렵고 규칙적으로 답변하는지 모니터링도 어려움. 그리고 이러한 단점을 HR Tech를 통해 dynamic을 상세히 봄으로써 완화가 가능함

daily experience sample 방법은 다수준이론의 방법론과도 비슷함

 

- 요즘은 신입사원의 이직이 잦기 때문에 이를 막고자 멘토링 하는 것은 의미가 크게 없고, 멘토를 대상으로 어떤 교육을 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