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36. The Consequence of Unethical Leader Behavior to Employee Well-Being: Does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Mitigate or Exacerbate the Stress Experience?

2025. 4. 30. 21:33I-O Psychology/논문 리딩

Hetrick, A. L., Mitchell, M. S., Villarosa-Hurlocker, M. C., & Sullivan, T. S. (2022). The consequence of unethical leader behavior to employee well-being: Does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mitigate or exacerbate the stress experience?. Human Performance35(5), 323-344.

 

이론

스트레스 이론(stress theory): 리더의 행동은 종업원의 복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가설

가설 1. 비윤리적인 리더의 행동은 부정 정서와 정적인 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비윤리적 리더 행동은 부정 정서를 통해 번아웃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비윤리적인 리더의 행동은 부정 정서를 통해 건강에 간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스트레스-자원 관점에 따라, 조직지원인식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비윤리적 리더 행동과 부정 정서 간의 정적 관계가 완화될 것이다.
가설 5. 스트레스-자원 관점에 따라, 비윤리적 리더 행동이 부정 정서를 통해 번아웃과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간접 효과는 조직지원인식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완화될 것이다.
가설 6. Negative exacerbator view에 따라, 조직지원인식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비윤리적 리더 행동과 부정 정서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화될 것이다.
가설 7. Negative exacerbator view에 따라, 비윤리적 리더 행동이 부정적 정서를 통해 소진과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간접 효과는 조직지원인식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강화될 것이다.

 

비판적 사고

본 연구는 비윤리적 리더의 행동이 종업원에게 미치는 영향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스트레스 이론을 바탕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비윤리적 리더의 행동이 종업원에게 미치는 심리적, 신체적 부정적인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문헌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연구 1에서 그치지 않고 연구 2의 실험 연구를 통해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도 시사점이 있다. 다만, 연구 2에서 사용된 vignette approach의 한계점을 본 연구의 보완점으로 보고 설명하고자 한다.

 

Vignette approach는 참가자들에게 현실적인 짧은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판단, 태도, 감정, 행동의도 등을 묻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게 2X2 상황에 따른 설명문을 제공해 주고 참가자들에게 질문에 응답하게 하였다. 이처럼 vignette approach는 시나리오의 특정 요소를 바꿔가며 실험할 수 있고, 참가자들에게 시나리오를 통해 현실을 상상하게끔 함으로써 실제 상황처럼 느끼게 하여 보다 현실적인 반응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참가자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가상의 상황을 판단하기 때문에 응답과 실제 행동 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두세 문장으로 간단하게 상황이 제시되기 때문에 맥락적인 부분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거나, 사람에 따라 상황을 해석하는 것이 다를 수도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vignette approach를 위해서는 참가자들이 연구자들이 원하는 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명료하게 문장을 구성하는 것 또한 연구의 타당도를 위해 중요하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Erfanian, F., Roudsari, R. L., Haidari, A., & Bahmani, M. N. D. (2020). A Narrative on the Use of Vignette: Its Advantages and Drawbacks. Journal of Midwifery & Reproductive Health8(2).

 

질문

1. 문장으로 간단하게 상황이 제시되기 때문에 맥락적인 부분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거나 사람에 따라 상황 해석이 다를 수 있다고 작성해 주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요소가 영향(ex. 직장 경험, 직위, 조직문화에 대한 기존 인식)을 미칠 수 있는지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먼저, 본 연구는 2 × 2(리더 행동: 비윤리적 대 윤리적, POS: 높음 대 낮음) 혼합요인설계로 연구가 진행되었음. 제시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예시를 들어 보겠음.

 

시나리오

리더의 행동이 비윤리적인 조건

"귀하와 동료의 아이디어를 상급 경영진에게 제공한 사실이 목격되거나 성과 프로젝트가 리더에 의해 부적절하게 '변경'된 것으로 밝혀졌다."
  • "부적절하게 변경"이라는 표현이 모호해, 참가자마다 맥락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어떤 참가자는 단순히 성과 순서를 바꾼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고, 또 다른 참가자는 자신의 기여를 리더가 도용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음.
  • "목격되거나 ~로 밝혀졌다"는 표현도 정보의 출처확실성의 정도가 불분명하여, 참가자마다 사건의 심각성을 다르게 인식할 수 있음.

 

조직지원인식이 높은 조건

"조직이 진정으로 관심을 갖는 것은 여러분의 미래 경력 목표를 확실히 고려하는 것이며, 핵심 참여자나 동료를 이용하지 않는 것이다."

 

  • 이 문장은 일상적인 언어와는 거리가 먼 추상적인 표현이 포함되어 있음. 예컨대, “경력 목표를 확실히 고려한다”는 표현은 실제 조직의 구체적인 행동으로 연결되지 않아 참가자가 얼마나 지원받고 있다고 느끼는지 판단하기 어려움.
  • 또한 "핵심 참여자나 동료를 이용하지 않는다"는 말도 실제 어떤 행위를 말하는 것인지 맥락 없이 이해하기 어려움. 이로 인해 참가자의 그 맥락을 상상에 의존하게 되고, 반응의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