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33. Vecchio, R. P. (1987). Situational Leadership Theory: An examination of a prescriptive theor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2(3), 444.

2025. 3. 25. 10:38I-O Psychology/논문 리딩

목적

상황적 리더십 이론의 전제를 바탕으로 리더가 리더십 스타일을 상황-부하의 성숙도 수준-에 맞게 조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처방적 가설을 제시하며 이를 검증하고자 함

 

개념 

상황적 리더십 이론: "이 상황에서는 이런 리더십이 효과적이다" 라는 처방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이론이며, 리더는 부하의 성숙도에 맞춰 리더십 스타일을 조정해야 한다고 설명함.

  • 지시형 (Telling): 낮은 성숙도를 가진 종업원에게 효과적이며, 높은 과업 지향, 낮은 관계 지향적 태도의 리더
  • 설득형 (Selling): 중간 성숙도 가진 종업원에게 효과적이며, 높은 과업 지향, 높은 관계 지향적 태도의 리더
  • 참여형 (Participating): 중간 성숙도 가진 종업원에게 효과적이며, 낮은 과업 지향, 높은 관계 지향적 태도의 리더
  • 위임형 (Delegating): 높은 성숙도 가진 종업원에게 효과적이며, 낮은 과업 지향, 낮은 관계 지향적 태도의 리더

 

방법

  • 미국 중서부 14개 고등학교의 교사 303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함
  • 리더의 슈퍼비전 스타일, 팔로워의 성숙도, 성과,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의 질(LMX), 슈퍼비전 만족도를 측정하고 다양한 통계적 검증을 수행함

 

결과

  • 저성숙도 종업원: 기존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처럼 높은 과업 지향적 스타일의 리더가 유효함
  • 중간 및 고성숙도 종업원: 상황적 리더십 이론이 제안하는 리더십 스타일이 반드시 더 나은 성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님이 확인됨
  • 고성숙도 종업원: 특정한 리더십 스타일을 떠나 전반적인 리더십의 영향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됨

 

시사점

  • 상황적 리더십 이론은 저성숙도 직원들을 대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상황적 리더십 이론은 모든 직무 환경에서 적용되기는 어려움
  • 고성숙도 종업원들은 리더십 스타일의 영향이 적거나 예측하기 어려워 상황적 리더십 이론의 적용이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