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34. Work-family enrichment and job performance: a constructive replication of affective events theory.

2025. 4. 8. 11:50I-O Psychology/논문 리딩

Carlson, D., Kacmar, K. M., Zivnuska, S., Ferguson, M., & Whitten, D. (2011). Work-family enrichment and job performance: a constructive replication of affective events theor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16(3), 297.

 

가설

H1a: 일-가정 향상은 긍정 정서와 정적인 관계가 있을 것이다.
H1b: 가정-일 향상은 긍정 정서와 정적인 관계가 있을 것이다.
H2: 긍정 정서는 직무 만족도와 정적인 관계가 있을 것이다.
H3: 직무 만족은 직무 성과와 정적인 관계가 있을 것이다.

H4a: 일-가정 향상과 직무 성과 간의 관계는 간접적이고 완전 매개되며 긍정 정서와 직무 만족에 따라 달라진다.
H4b: 가정-일 향상과 직무 성과 간의 관계는 간접적이고 완전 매개되며 긍정 정서와 직무 만족에 따라 달라진다.

 

연구 결과

연구1과 연구2에서 일-가정 향상과 직무 성과 간의 간접적 관계는 긍정 정서에 의해 완전 매개되고 직무 만족도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을 확인함

연구1에서 가정-일 향상과 직무 성과 간의 간접적 관계는 긍정 정서에 의해 부분 매개되고 직무 만족도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것을 확인함

연구2에서 가정-일 향상과 긍정 정서와의 정적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H4b도 지지되지 않았음

→ 이러한 결과는 향상의 긍정적 효과가 원래의 영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는 이전 연구 결과와 일치함. 예를 들어, 일-가정향상이 직무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가족 간의 갈등은 직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Carlson, Grzywacz, & Zivnuska, 2009; Wayne, Musisca, & Fleeson, 2004). 또한, 최근 일-가정의 향상의 결과에 대한 메타분석에 따르면 일-가정 향상은 업무 변수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반면, 가정-일 향상은 가족 변수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개념

일-가정 향상(work-family enrichment): 직장에서 얻은 자원이 가정으로 전이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예) 직장에서 배운 갈등 해결 기술을 가정에서 적용하여 가족 관계를 개선하거나, 직장에서의 성취감이 가정생활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유발하는 것

 

가정-일 향상(family-work enrichment): 가정에서 얻은 자원이 직장으로 전이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예) 가족으로부터 받은 정서적 지지가 직장에서 더 높은 동기와 생산성을 유발하거나, 가정에서의 행복감이 직장에서 더 나은 태도를 형성하는 것

 

이론

정서사건이론(Affect Event Theory; AET): 종업원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감정과 기분이 직무태도와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조직 심리학자 하워드 M. 와이스(Howard M. Weiss)와 러셀 크로판자노(Russell Cropanzano)가 개발한 모델

 

요약

본 연구는 정서사건이론을 바탕으로 일-가정 향상이 긍정 정서 및 직무 만족을 거쳐 직무수행(job performance)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일-가정 향상 경험이 긍정 정서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직무 만족과 같은 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거쳐 직무수행과 같은 긍정적인 행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가정-일 향상(family-work enrichment)과 긍정 정서와의 정적 관계는 지지되지 않았으며, 긍정 정서 및 직무 만족을 거친 가정-일 향상과 직무 수행 간의 간접 효과도 지지되지 않았다. 이는 향상의 긍정적 효과가 기존의 영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는 선행 연구와 일치하며, 일-가정(가정-일) 풍요와 직무 수행 간의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교재 222p의 정보로서의 정서 가설처럼 특정 사건에 대해 느끼고 있는 정서를 정보로 활용하여 이후의 태도나 행동에 대한 판단 및 의사결정을 내린다는 점에서 연관이 있다고 보고 가져오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