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18. A dual‐path model of observers' responses to peer voice endorsement: The role of instrumental attribution.

2024. 8. 30. 21:04I-O Psychology/논문 리딩

Ni, D., Yang, M., & Chen, W. (2024). A dual‐path model of observers' responses to peer voice endorsement: The role of instrumental attribu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45(1), 39-56.

 

 

개념

동료의 음성 지지 peer voice endorsement

지위 위협 status threat: 자기 지향적이고 근거리적인 반응

동료를 향한 부정적 가십 negative gossip toward peers

지각된 동료 역량 perceived peer competence: 개인의 능력, 지식, 지능, 기술을 의미하며, 종업원들이 다른 사람을 묘사하고 판단할 때 의존하는 핵심적이고 보편적인 차원임. 이는 동료의 제안과 아이디어에 대한 지지가 음성 영역에서 동료의 능력, 지식, 지능, 기술에 대한 종업원들의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관련성이 높음

역할 모델링 연습 행동 role modeling practice behavior: 역할 모델링 관련 연구에서는 역할 모델링이 주로 개인의 역량에 대한 인식에 의해 뒷받침된다는 점을 강조함

도구적 귀인 instrumental attribution: 높은 수준의 도구적 귀인에는 특정 행동을 통해 이익을 얻으려는 공리주의가 바탕에 깔려 있음. 낮은 도구적 귀인을 하면 동료의 목소리를 자신의 이익과 개인적 이익을 위한 것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낮아짐

 

이론

사회 정보 처리 이론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개인은 이용 가능한 특정 정보를 연구하여 심리적 및 행동적 반응을 일으키고 적응하는 적응적 유기체임. 이때, 정보의 중요한 원천 중 하나는 개인이 자신의 태도와 행동에 대한 사건이나 정보를 구성하고 해석하는 데 사용하는 단서를 제공하는 즉각적인 사회적 맥락임. 

사회기능적 관점 sociofunctional view: 인간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맥락에서 타인이 제공하는 잠재적 위협이나 기회를 인식하기 위한 인지적 도구를 개발함. 즉, 종업원들은 귀중한 자원의 잠재적 손실로 인해 집단에서 지위 위협을 경험할 수 있음. 

 

가설

가설 1. 관찰자의 도구적 귀인은 동료의 음성 지지와 지위 위협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여 관찰자의 도구적 귀인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두 관계 사이의 정적인 관계가 강화된다. O
가설 2: 관찰자의 도구적 귀인은 동료의 음성 지지와 지각된 동료 역량 간의 관계를 조절하여 관찰자의 도구적 귀인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두 관계 간의 정적인 관계가 강화된다.  O
가설 3. 관찰자의 지위 위협은 동료에 대한 부정적인 가십과 정적인 관계가 있다. O
가설 4. 지위 위협이 매개하는 동료의 음성 지지가 동료에 대한 부정적인 가십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관찰자의 도구적 귀인에 의해 조절될 것이며, 관찰자의 도구적 귀인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간접 효과가 강화될 것이다.
가설 5. 관찰자의 지각된 동료 역량은 역할 모델링 연습 행동과 정적인 관계가 있다. O
가설 6. 지각된 동료 역량이 매개하는 동료의 음성 지지가 관찰자의 역할 모델링 연습 행동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관찰자의 도구적 귀인에 의해 조절될 것이며, 관찰자의 도구적 귀인이 낮을수록 간접 효과는 강화될 것이다.

Study 1 - 2.5.6. 지지

Study 2 - 1.4. 지지Study 3 - 3.6 지지

 

→ 관찰자의 도구적 귀인이 높을수록 동료의 음성 지지와 지위 위협 사이의 정적 관계가 강화되는 반면(연구 2), 동료의 음성 지지와 지각된 동료 역량 사이의 정적 관계는 약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함(연구 1과 2). 지위 위협은 동료에 대한 부정적인 가십을 정적으로 예측했고(연구 1과 3), 지각된 동료 역량은 역할 모델링 연습 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함(연구 1과 3)

 

비판적 사고

본 연구는 동료의 발언 지지를 관찰한 종업원의 반응을 사회 정보 처리 이론과 사회기능적 관점에 따라 부정적/긍정적 반응으로 나누어 그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발언 지지와 관련된 문헌들과 달리 수신자 혹은 발화자의 관점에서 벗어나 제3자의 관점으로 연구를 전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발언 지지 현장을 목격한 종업원의 경우 기존에 알려진 발언 지지의 긍정적인 영향과 달리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도 있다는 점을 실무자가 이해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비용을 피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본 연구는 조절변인으로 도구적 귀인을 제시하여 종업원이 낮은 수준의 도구적 귀인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직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조직에 보다 직접적인 실무적 시사점과 발언 지지가 주는 긍정적 영향 강화 및 부정적 영향의 완화를 위한 새로운 변인으로 절차 공정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절차공정성은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하는 정책 및 절차들에 대하여 종업원들이 지각하고 있는 공정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형평 이론(equity theory)에 따라 종업원은 조직이 공정한 대우를 해주지 않는다고 느끼면 자신의 노력을 줄일 가능성이 크다. 이는 호혜성의 규범으로도 설명할 수 있으며, 조직의 의사결정 절차와 관련해서 공정한 대우를 받았다고 인식 하는 종업원들은 그에 상응하는 태도와 행동으로 조직에 보답하고자 할 것이다. 따라서 종업원의 높은 절차공정성 인식은 지위에 대한 위협을 느끼고 동료에 대한 험담을 하기보다 조직을 위해 직무에 더욱 몰입하고자 하는 현상으로 이어질 것이고, 회사에 보탬이 되기 위해 동료 역량에 대한 지각을 거쳐 역할 모델 행동의 능동적 수행을 강화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에 따른 새로운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관찰자의 절차공정성 인식은 동료의 발언 지지와 지위 위협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여 관찰자의 절차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두 관계 사이의 정적인 관계가 약화된다.

가설 2: 관찰자의 절차공정성 인식은 동료의 발언 지지와 지각된 동료 역량 간의 관계를 조절하여 관찰자의 절차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두 관계 간의 정적인 관계가 강화된다.

가설 4. 지위 위협이 매개하는 동료의 발언 지지가 동료에 대한 부정적인 가십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관찰자의 절차공정성 인식에 의해 조절될 것이며, 관찰자의 절차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간접 효과가 약화된다.

가설 6. 지각된 동료 역량이 매개하는 동료의 발언 지지가 관찰자의 역할 모델링 연습 행동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관찰자의 절차공정성 인식에 의해 조절될 것이며, 관찰자의 절차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간접 효과는 강화된다.

 

이는 동료 발언 지지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구체적으로는 조직에서 종업원의 발언이 지지 받는 과정이 공정하고 신뢰로우며 발언 기회가 모두에게 공정해야 함을 실무적으로 시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조아름, 유태용. (2014). 종업원 침묵행동과 상사지원인식, 절차공정성인식의 관계에서 침묵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2), 29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