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3. 21. 01:11ㆍI-O Psychology/논문 리딩
발제주차라 기존과는 내용 구성이 다르게 되어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논문 구성]
1. Introduction
- 연구를 하게 된 계기
> 기존 연구 제한점 1
> 기존 연구 제한점 2
- 연구의 목적

2.Theory and hypotheses
2.1 Mobile work, psychological detachment, and state resilience: A recovery perspective
> Mobile work 개념
> Mobile work 특성
- 주장 1
> Psychological detachment 개념
> effort-recovery model 개념
> psychological detachment와 mobile work의 관계
- 주장 2
> state resilience의 개념
> state reseilience와 mobile work의 관계
- 가설 1
2.2 Spousal perception and response to mobile work: Work-to-home process
두 번째 가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 work-to-home process
> work-home resources model
- 주장 1
> person-perception theory
> person-perception theory와 mobile work 관계
- 주장 2
> 주장에 대한 설명 및 근거
- 가설 2
- 주장 3
> work-home resources model에 따른 주장에 대한 설명 및 근거
- 가설 3
2.3 State resilience as a mediator: Home-to-work process
- 주장 1
> state resilience와 next day work의 관계
- 주장 2
- psychological withdrawl 개념 및 예시
- mobile work와 psychological withdrawl의 관계
3. method
3.1 Sample and procedure
- sample 특징
- data
> 기저선 질문지
> 일주일 후 15일 동안의 질문지 응답(온라인/fixed 응답 시간(focal employee와 spouse의 차이))
- 최종 sample
> sample 수
> focal employee 인구 통계
> spouse 인구 통계
> couple 인구 통계
- 번역 방식
3.2 Measures from focal employees
- mobile work
> 질문지 저자 및 항목 수
> 질문 항목 예시(척도 스케일, 알파값)
-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 state resilience
- psychological withdrawal behavior
3.3 Measures from spouses
- Spouse perception of the employee's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 Relationship satisfaction
3.4 Control variables
- 순간적인 부정적 영향(momentary negative affects)
> 통제 이유
> 측정 방식(focal employee&spouse)
> 질문지 저자 및 five item scale (scale 예시)
> 응답 방법
> 알파값
- previous workday's working hours, state resilience, psychological withdrawl behavior
- 통제변수 포함해도 연구 결과값에는 크게 변동 x 따라서 분석 결과 보고 x
3.5 Analytic strategy
- multilevel path analysis with Mplus 8.4 다수준 경로 분석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R
- 종업원의 심리적 분리에 대한 인식과 종업원의 심리적 분리에 대한 배우자의 인식에 대한 잔차를 공분산 처리함
4. Result



5. Discussion
- 연구 목적(무엇을 탐구하려고 하였는지)
- 가설 1, 가설 2, 가설 4 지지
> 지지된 내용
- 가설 3, 가설 5 지지 x
> 해당 결과에 대한 설명
6. Theoretical implications
- 첫째(과거 연구 -> 본 연구 초점)
- 둘째(과거 연구 -> 본 연구 초점 및 발견 각각 2개씩)
- 셋째(과거 연구 -> 본 연구 의의 각각 2개씩)
- 넷째(과거 연구 -> 본 연구 시사점)
7.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 첫째~여섯째
8. Practical implications
[개념]
모바일 업무(mobile work; remote work, work from anywhere, remote job, distance work) = 재택근무(work from home)
심리적 분리(psychological detachment)
노력-회복 이론(effort-recovery model)
상태 회복탄력성(state resilience)
심리적 철수(psychological withdrawl)
대인-지각 이론(person-perception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