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7)
-
조직심리학 04-2. No person is an island: Unpacking the work and after-work consequences of interact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ang, Pok Man, Koopman, Joel, Mai, Ke Michael, De Cremer, David, Zhang, Jack H., Reynders, Philipp, Ng, Chin Tung Stewart, & Chen, I-Heng (2023). No person is an island: Unpacking the work and after-work consequences of interact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108(11), 1766-1789. https://doi.org/10.1037/apl0001103 [가설] 가설 1: AI와의 상호작용 빈도는 직원의 소속감 욕구와 정적 관계가 있다..
2024.04.05 -
조직심리학 04-1. X-Y 이론, 요구-자원 이론, 직무역할개선(job craft)
[정리] - 직무(job): 종업원에게 할당된 업무의 집합(Wong & Campion, 1991). 이러한 관점에서 직무 설계는 과업의 내용과 조직을 의미함 - 작업설계(work design): 업무 과제, 활동, 관계 및 책임의 내용과 조직 / 직무와 역할이 제정되는 구성, 내용, 구조 및 환경에 관한 연구, 생성 및 수정임 왼쪽 스트레스 가운데 작업설계 오른쪽 팀 1. Sociotechnical System and Autonomous Work Groups (빨강) - 초기 의학 연구(심리적, 사회적 요인들이 석탄 광부들 사이에 병을 일으킴)를 작업방식에 적용하여 채굴방법을 대체함 -> 작업을 자율적으로 완료하게 됨 - 따라서 팀(팀 효과성 모델, team effectiveness models)으로 하..
2024.04.05 -
논문 12. Making daily decisions to work from home or to work in the office: The impacts of daily work-and COVID-related stressors on next-day work location.
Shao, Y., Fang, Y., Wang, M., Chang, C. H. D., & Wang, L. (2021). Making daily decisions to work from home or to work in the office: The impacts of daily work-and COVID-related stressors on next-day work loc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06(6), 825. https://doi.org/10.1037/apl0000929.supp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근로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동시에 현장 업무를 점진적으로 재개하기 위해 많은 조직에서는 직원들에게 매일 근무 장소를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는 권한(예: 특..
2024.04.02 -
조직심리학 03-2. All set in stone? How essentialist beliefs about aging affect older workers' motivation to continue working beyond retirement age.
Motivation Related to Work: A Century of Progress 기본학습: 내적동기이론, 목표설정이론 Weiss, M. Weiss, D., & Zacher, H. (2022). All set in stone? How essentialist beliefs about aging affect older workers' motivation to continue working beyond retirement ag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43, 1446–1461. DOI: 10.1002/job.2647 [이론] 암묵적 이론: 사람들은 성격, 지능, 기억력, 의지력 등 다양한 인간 특성과 능력의 본질에 대해 고정적이거나 가변적이라는 암묵적 이론을 ..
2024.03.29 -
조직심리학 03-1. 내적동기이론, 목표설정이론
[주요 개념] 작업동기(Work Motivatoin): 개인이 개발하는 기술, 개인이 추구하는 작업 경력, 개인이 업무 수행 동안의 방향, 강도,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자원(ex. 주의, 노력, 시간, 인적 및 사회적 자본)을 할당하는 방식에 영향을 줌 동기(motivation): 자발적인 행동의 시작, 방향, 강도, 지속성에서 관찰 가능한 변화의 기반이 되는 개념의 밀집한 네트워크와 행동의 시작, 방향, 강도, 지속성의 상호 관계를 포착하기 위한 포괄적인 용어로 자주 사용됨 큰 흐름 20세기 중반 전까지는 주요 연구 주제가 아니었음(1966-1975년부터 연구량 급증) 1970년대에 성격 연구와 I/O 심리학에 대한 비판으로 인해 줄어들었음 [내용 지향 이론(Content-Oriented theorie..
2024.03.28 -
논문 11. LinkedIn‐based assessments of applicant personality, cognitive ability, and likelihood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Comparing self‐, other‐, and language‐based automated ratings.
Roulin, N., Stronach, R. (2022). LinkedIn‐based assessments of applicant personality, cognitive ability, and likelihood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Comparing self‐, other‐, and language‐based automated ratings.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 Assessment, 30(4), 503–525. [가설] 가설 1. 평가자의 LinkedIn 프로필에 기반한 성격 평가는 모든 성격 특성에 대해 평가자 간 신뢰성을 보여줌 o 가설 2a. LinkedIn 프로필을 기반으로 한 평가자의 성격 평가..
2024.03.28 -
조직심리학 02-01. 직무만족, 조직몰입, 정서우발이론(Affective Event Theory)
[토론 주제] 긍정적인 직무태도로 촉발된 조직시민행동과 같은 성과 변인이 종업원 개인에게 피로로 느껴지지 않게끔 조직적 관점에서 어떠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을까? 첫 번째 논문에서 언급된 직무태도에 대한 연구에서는 직무에 대한 정서적 반응이 가치와 직무 특성 사이의 반응을 반영한다고 설명한다. 감정 평가 이론(Appraisal theory of 에서도 사건 자체의 객관적 현실이 아닌 사건에 대한 평가가 개인마다 서로 다른 특정 감정을 촉발한다고 보며 긍정정서는 긍정적인 태도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는 행동까지 자아낸다고 보았다. 본 논문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조직시민행동은 그러한 행동 변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 따르면 조직시민행동은 종업원이 자신의 직무에서 요구되는 행동 이상을 이타적으로 행하는 것이기에..
2024.03.24 -
논문 10. Activated at home but deactivated at work: How daily mobilework leads to next-day psychological withdrawal behavior
발제주차라 기존과는 내용 구성이 다르게 되어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논문 구성] 1. Introduction - 연구를 하게 된 계기 > 기존 연구 제한점 1 > 기존 연구 제한점 2 - 연구의 목적 2.Theory and hypotheses 2.1 Mobile work, psychological detachment, and state resilience: A recovery perspective > Mobile work 개념 > Mobile work 특성 - 주장 1 > Psychological detachment 개념 > effort-recovery model 개념 > psychological detachment와 mobile work의 관계 - 주장 2 > state resilience의 개..
2024.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