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단과 의사결정] 03. 판단 2: 대안적 접근

2025. 3. 25. 11:42I-O Psychology/판단과 의사결정

 

6.1 스마트한 휴리스틱

  • Gigerenezer
    • Tversky와 Kahneman의 연구방법과 결과에 의문을 제기함
      1. 연구결과에 대해 사람들이 판단에서 편향을 보이는 것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양식으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음(Gigerenezer & Hoffrage, 1995)
        • 동일한 의사결정 문제에서 Tversky와 Kahnemans는 관련 정보를 확률로 제공하였으며, Gigerenezer는 동일한 정보를 빈도로 제시함
          • 빈도가 진화론적으로 보았을 때 인간에게 더 익숙한 형태의 정보양식이라고 주장함
          • 사람들이 빈도 자체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빈도에 대해 어느 정도의 정보처리가 일어나는 정보 처리 인지알고리즘이 있음을 시사하며 이 주장을 지지하는 연구 결과도 있음(Hasher & Zacks, 1979) 
            • 즉, 사람들의 판단이 얼마나 정확한지를 논하기 위해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인지 알고리즘에 상응하는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함
      2. Tversky와 Kahneman의 결과분석(outcome analysis; 주어진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응답을 합리적인 의사결정자가 따라야 하는 원칙을 제안하는 규범적 이론에 근거한 답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방법) 대신 과정분석(process analysis)을 제안함
        • 결과분석은 의사결정 문제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위해 거치는 인지과정이나 의사결정자의 수행능력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님을 지적함
        • 따라서 실험 직후 면접이나 동시조서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사람들의 선택이나 판단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고, 자신이 제안하는 휴리스틱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일어나는지를 제안하며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여주는 식의 과정분석 방법을 사용함
        • 과정분석 방법: 의사결정이 어떤 과정(steps)을 거쳐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하는 방법임. 즉, 결정이 내려지는 과정(process) 자체를 연구하는 접근 방식
      3. 빠르고 소박한(fast and frugal) 휴리스틱을 제안함
        • 재인 휴리스틱(recognition heuristic): 두 개의 선택지 중 하나를 알고 있고, 다른 하나를 모른다면 상대적으로 익숙한 선택지를 더 크거나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함
          • 간단하고 빠른 의사결정 전략
          • 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
          • 정확도가 높은 경우가 많음
        • 위 휴리스틱은 하나의 이유에 근거한 선택(one reason decision making)이 발생한다고 설명함
          • 한 번에 하나의 단서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인지적 부담이 적고, 관련 단서 중 일부만 활용이 가능함
          • 즉, 두 대안 중 한 대안만 재인을 하면 재인에 근거해서 선택을 할 수 있고, 둘 다 재인을 하는 경우 다른 단서를 찾으면 됨

 


 

 

6.2 합리성의 문제

6.2.1 합리성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

  1. Baron(2008)의 합리적인 사고
    • 합리적인 사고를 사람들이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사고라고 정의함
    • 합리성이란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근거해 판단하는 것이지 나타난 결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함. 즉, 선택의 결과가 좋게 나왔다고 해서 그것이 합리적인 사고의 결과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
      • 결과편향(outcome bias): 종종 사람들은 결과에 근거해 그 결과에 이르게 한 과정을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 즉, 결과가 좋으면 그 결과에 이르게 한 과정도 합리적이었다고 판단하는 것임
    • 합리성이 정확성(accuracy)과 같지 않고 마찬가지로 비합리성이 실수(error)를 뜻하는 것도 아니라고 지적하면서 합리성은 정도(degree)의 문제라고 말함
    • 냉철한 인간상에서 벗어나 때로는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감정, 다른 사람의 이득을 생각하는 이타적인 자세도 합리적 사고를 위해 필요한 요소일 수도 있다고 설명함
  2. Dawes(1988): 자동적 사고(automatic thinking)와 통제된 사고(controlled thinking)의 두 가지로 나누면서 보다 합리적인 사고를 위해서는 자동적 사고의 습관에서 벗어나 통제된 사고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함
    • Dawes가 주장하는 합리적인 선택의 조건
      • 의사결정자의 현재 자산(생리적 상태, 심리적 상태, 사회적 관계, 감정)에 근거해야 함
      • 선택은 그 선택의 가능한 결과들에 근거해야 함
      • 결과가 불확실한 경우 각 결과가 나타날 확률을 고려해야 하며 이는 확률규칙에 위반되지 않아야 함
  3. Tersky와 Kahneman(1981): 합리적인 선택은 기본적으로 일관성과 일치성을 요구한다는 점에 대해 일반적인 동의가 이루어져 있다고 언급함

 

6.2.2 편향에 대한 접근

  • 어떻게 하면 편향을 막거나 줄일 수 있는가에 대해 모색하는 접근도 있음
    • 편향 줄이기 기법(debiasing technique) = 처방이론(prescriptive theory)
  • 편향이 곧 사람들의 행동을 바꿔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주장도 있음(McKenzie, 2003)

 

6.2.3 생태학적 합리성 및 사회적 합리성

  • Gigerenzer는 경제학적 합리성 대신 생태학적 합리성과 사회적 합리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함
  • 생태학적 합리성(ecological rationality)
    • 인간은 완벽한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처한 환경(ecology)에 적응하여 합리적으로 행동함
    • 즉, 어떤 의사결정 전략이 합리적인지는 그 전략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름
    • 최적화(optimization)보다는 적응(adaptation)이 중요함
  • 사회적 합리성(social rationality)
    • 인간은 단순히 자신의 이익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 규범 속에서 의사결정을 내림
    • 개별 최적화(individual optimization)보다는 집단 내 상호작용(interaction)과 규칙(rule-following)이 중요한 역할을 함
    • 사회적 신뢰, 협력, 규범이 합리적 선택을 결정하는 요소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