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심리학 05-1. 팀발달단계, 단속평형이론(Gersick), IMO 팀과정

2024. 4. 11. 19:34I-O Psychology/조직심리학

 

 

스트레스 요인: 후속 반응을 일으키는 조건 및 사건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인식과 평가

긴장: 심리적, 생리적, 행동적 결과

 

1917-현재

  • 역사적 사건
    • 제1차 세계대전(1914년 7월 28일~1918년 11월 11일)
    • 소련의 흥망성쇠(1922년 12월 30일~1991년 12월 26일)
    • 경제 대공황(1929~1939년)
    • 제2차 세계대전(1939년 9월 1일~1945년 9월 2일)
    • 한국전쟁(1950년 6월 25일~1953년 7월 27일), 베트남 전쟁(1955년 11월 1일~1975년 4월 30) 등 기타 주요한 분쟁
    • 소련으로 인해 아프리카와 아시아를 중심으로 등장한 새로운 국가  
  • 기술의 변화
    • 20세기 초: 포드 자동차 회사가 대중화한 조립 라인 및 대량 생산(1913년)
      • 무력감, 무의미함, 사회적 고립감, 소외감과 같은 종업원들의 반응을 촉발함
    • 정보 및 통신 기술의 발전이 경제 및 많은 분야에 영향을 미침
      • 제조업에서는 컴퓨터 지원 설계(computer-aided design, CAD), 컴퓨터 수치 제어(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 산업용 로봇이 도입됨
      • IBM PC가 출시된 후 개인용 컴퓨터가 등장하며 행정 업무도 변화함(1981년)
      • 많은 업무가 더 이상 한 장소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장소에서도 수행할 수 있게 됨(e.g., 재택근무, 모바일 기기 사용 업무)

 개인의 자율성을 높이고 일과 가정의 갈등과 역할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게 됨

→ 일과 삶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상황을 만들었으며, 이는 스트레스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미침

  • 경제의 변화
    • 1차 및 2차 경제 부문(원자재 추출 및 상품 생산)의 일자리 감소, 3차(법률 의료 등 서비스 부문) 일자리 서구에서 증가
      • 신체적 및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이 감소함
      • 감정 노동과 관련된 스트레스 요인이 증가함
      • 즉, 직무 요건 및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변화함
    •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가 급격히 증가함
      • 맞벌이 가정의 남성과 여성을 work와 work 이외의 역할 및 책임의 변화에 대처해야 했음
      • 따라서 일과 가족 간의 갈등이 증가함
    • 20세기 후반 경제가 더욱 더 글로벌화 됨
      • 글로벌 경쟁이 수반되어 업무량, 고용 불안, 규모 축소와 같은 스트레스 요인이 증가함
      • 개인의 국제 이동 증가와도 연관되어 새로운 문화와 업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함

1917-1966

- 대공황: 대공황과 스트레스 연구를 관련성 있게 고려하지 않음

- 전쟁: 전쟁과 스트레스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음

- 대량 생산: 소음의 영향에 대해 많이 연구됨, 교대 근무가 주요 관심사가 아니었으며 소외라는 단어는 전혀 등장하지 않아 - 산업화 이후의 문제와 우려가 연구되지 않았음을 보여줌

- 유행 이론: 항상성 및 생리적 과정의 개념, 그러나 연구에서는 등장하지 않음

 

1967-1996

- 스트레스 연구가 중심 부제로 급부상하여 직업, 스트레스, 일이라는 단어가 많이 등장함

- 실증적 연구가 많아짐

- 결과 변수와 관련된 명확한 패턴이 드러남

- 직장에서의 여성: 여성들의 사회적 진출이 활발해지며 여성들의 스트레스와 직무 통제 및 대처에 관한 성별의 차이 등이 연구됨

- 경제적 불확실성: 아랍 석유 금수 조치, 크라이슬러 구제금융, 1940년 이후 최고 실업률이 반영된 연구 주제이며, 이전 시대와는 달리 경제적 사건들이 연구에 반영되었음을 보여줌

- 스트레스와 안전: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가 안전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되었으며 대표적으로 시간 압박과 의사 결정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있음

- 역할 스트레스: Kahn의 역할 스트레스 이론 

- 사회적 지지: 조절변인으로 사회적 지지가 활발히 연구되었으나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이 주요 결과임, 긍정적 조직 지원(POS)의 구조도 소개됨

 

1997-현재

- 용어의 구체성이 높아져 이전에서 2번째로 빈도가 높았던 용어인 스트레스의 순위가 떨어짐

- 감정적이라는 단어가 새롭게 등장함

- 스트레스의 성격이 전반적으로 변화하고 확장되어 피로, 번아웃과 같은 개념이 등장함

- 일-가정 간의 갈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 업무의 경계: 기술 변화로 일과 이외의 경계가 모호해진 것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짐, 회복 및 분리 그리고 일-가정 갈등이라는 연구 주제가 이를 잘 보여줌

- 직장 내 긴장: 직장 내 갈등이 종업원 복지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과 함께 다양성을 둘러싼 사회적 문제가 반영됨

- 번아웃

- 자원: COR 이론이 자주 사용됨

- 다수준 모델: 다수준 및 종단적 접근법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

 

[주요 이론적 모델]

1.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

- Cannon

스트레스=투쟁 또는 도피(1915)

위협에 대한 반응이 항상성(생리적 과정의 자기 조절)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고 봄(1932)

 

- Selye (1936)

일반적 적응 증후군(General Adaptation Syndrome): 어떤 요구에 대한 신체의 특이적 반응을 의미함

즉,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의미하며 GAS는 경보, 저항, 탈진의 세 단계로 구성됨

처음의 두 단계는 요구에 적응하려는 시도(경보, 저항), 세 번째 단계는 적응 에너지의 고갈(탈진)을 나타냄

 

- 사회적 재적응 평가 척도(SRRS, 1967)

1960년대 스트레스 연구는 주요 생활 사건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함

사회적 재적응 평가 척도(SRRS, 1967)의 개발로 자극을 받음

각 사건에 필요한 재적응의 척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고 합산하여 전반적인 삶의 스트레스 척도를 도출함

△ 정신 및 신체 증상과의 상관관계는 .30을 초과하는 경우가 거의 없을 정도로 낮음

 

거래 이론(Lazarus, 1966; Lazarus & Folkman 1984)

스트레스 과정에서 주관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함

→ 스트레스 요인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개인이 이를 인지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고 주장함

두 가지 형태의 인지적 평가: (a) 잠재적 스트레스 요인을 해롭거나 위협적인 것으로 보는지, 도전적인 것으로 보는지를 결정하는 1차 평가, (b) 개인이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는 2차 평가

 

개인이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식도 고려함

(a) 개인적 차이의 대처 스타일, (b) 개인과 상황 사이의 스트레스 거래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정 접근 방식

 

- Hobfoll(1989)

자원보존이론(COR): 개인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자원이 위협받거나, 상실되거나, 포기될 때 스트레스가 발생한다고 가정함

자원: 그 자체로 가치가 있거나, 개인이 다른 가치 있는 자원을 얻거나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치 있는 대상이나 조건 및 개인적 특성

○ 처음으로 스트레스의 결정 요인으로 객관적인 환경을 더 강조함

그러나 여전히 인지적 평가는 스트레스 이론에서 주요한 역할을 함->경험한 스트레스 요인을 긴장 및 대처 과정으로 전환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임

 

2. 업무 상황에서의 스트레스 이론

- Bhagat(1983)

스트레스가 많은 생활 사건이 조직 환경에서의 개인 성과, 만족도,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델을 제안함

직무 및 개인 영역과 관련된 잠재적 스트레스 사건을 구분하는 체크리스트를 개발함

자극적인 사건보다 지속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업무 스트레스 요인에 초점을 맞춤

 

두 가지 주요 직무 특성에 초점을 맞춤

(a) 직무 요구와 (b) 직무 결정 자유도에 초점을 맞춘 모델을 개발함

→  정신적 긴장은 높은 요구와 낮은 결정 자유도가 결합된 산물이라고 예측

 

- Frankenhaeu serser

산업 환경에서 근로자의 직무 요구 측면에서 스트레스를 조사하는 연구 프로그램을 수립

특히, 심리생물학적 결과에 중점을 둠

 

- 도전 방해 접근법

업무 관련 요구와 상황이 종업원에게 이익 또는 손실을 가져오는지에 따라 도전 또는 방해로 분류함

 

↓ 인지적 평가의 역할을 강조하는 이론들

- Kahn

역할 스트레스 이론: 조직 역할의 특성(e.g., 갈등, 모호성, 과부하)이 역할 수행자에게 어떻게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식되고 경험되어 정서 및 생리적 증상과 대처 반응을 유발하는지를 살펴보는 이론임

 

- 개인 환경(P-E) 적합성 이론: (a) 객관적인 개인과 환경 요인, (b)주관적인 요인으로 구분하여 심리적, 생리적, 행동적 긴장과 대처 및 방어 메커니즘의 주요 결정 요인으로 봄.

즉, 주관적인 개인과 환경 간의 적합성을 강조함

 

- 사이버네틱스 이론(1979, 1992): 스트레스를 지각과 중요한 욕구 사이의 불일치로 정의함

그리고 이는 심리적, 신체적 증상과 지각된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함

 

- Schuler(1980)

조직 내 스트레스 개념화: 스트레스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소유 또는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나 제약 또는 기회에 직면할 때 존재한다고 설명함

그리고 이는 심리적, 신체적, 행동적 증상과 스트레스 및 해로운 영향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진다고 가정함

 

→ 인지적 평가를 강조하는 직무 스트레스 이론에서는 스트레스가 긴장 및 질병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의 원인에 대한 대처 노력을 촉발한다고 가정하는 경우가 많음

통제, 회피, 증상 관리/이성적 과제 지향 행동, 정서적 해방, 주의 분산, 수동적 합리화, 사회적 지지와 같은 다양한 대처 전략이 논의됨

실직, 일-가정 갈등과 같은 행동이 연구되기도 함

 

[교수님 말씀]

- 일반심리학에서도 사용되는 개념이 스트레스이기에, 조직심리학에서의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무엇이 다른지 확인해야 됨

- 스트레스 연구는 job demand와 관련된 이론으로 이어짐

- AI로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다고 하더라도 AI가 인간에게 뭘 해줘야 하는지 생각해야 됨

- 인지행동치료가 가장 효과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