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21. Does passion matter for team innovation?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of team harmonious versus obsessive passion via team reflexivity.

2024. 10. 2. 21:58I-O Psychology/논문 리딩

Wei, X., Liao, H., Zhang, Z. X., Dong, Y., & Li, N. (2023). Does passion matter for team innovation?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of team harmonious versus obsessive passion via team reflexivity. Personnel Psychology.

 

개념

혁신을 위한 조화로운 열정(harmonious passion for innovation; HP): 목표 활동(예: 혁신)을 자신에게 중요한 것으로 자유롭게 받아들이는 사람들을 의미함. 혁신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자율적으로 내면화하였기에 이러한 자율적 내면화는 개인이 혁신에 몰입할 때 완전한 몰입으로 이어지며, 삶의 다른 활동과 균형을 맞추고 혁신에 참여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어짐

혁신을 위한 강박적 열정(obsessive passion for innovation; OP): 자신을 통제하는 내적 강박 때문에 목표 활동에 참여해야 한다고 느끼는 사람들을 의미함. 이들은 통제할 수 없는 excitement와 자존감 같은 내적 강박이나 우발적 상황으로 인해 혁신을 내면화함. 또한, 압박감을 느끼고 자발적으로 활동을 중단하지 않기 때문에 목표 활동에 극도로 헌신하며, 그것이 삶을 지배하고 다른 측면과의 갈등과 상당한 비용을 유발함

열정의 다양성: 팀 내 혁신을 위한 개별 구성원의 HP 또는 OP 수준의 분산

팀 성찰(team reflectivity): 팀원들이 팀의 목표, 전략 및 프로세스를 반영하고 그에 맞게 조정하는 것

혁신(team innovation):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으로 조직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업무 팀에서 시작하고 추구하는 경우가 많음

+) 혁신에 대한 팀 평균 HP가 높다는 것은 개별 팀원이 평균적으로 혁신에 대한 열의가 높고 혁신 활동에 참여할 때와 중단할 때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음을 나타냄. 반면, 혁신에 대한 팀 평균 OP가 높다는 것은 팀원들이 평균적으로 업무와 생활에서 다른 활동을 제약하는 혁신 활동을 경직되게 고집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냄

 

가설

가설 1a: 혁신에 대한 평균 HP는 팀 성찰과 정적관계이다.
가설 1b: 혁신에 대한 평균 HP는 팀 성찰을 통한 팀 혁신과 정적관계이다.
가설 2a: 혁신에 대한 평균 OP는 팀 성찰과 부적관계이다.
가설 2b: 혁신에 대한 평균 OP는 팀 성찰을 통한 팀 혁신과 부적관계이다.
가설 3a: 혁신에 대한 평균 HP가 팀 성찰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혁신에 대한 HP의 다양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완화된다.
가설 3b: 혁신에 대한 평균 HP가 팀 성찰을 통한 팀 혁신에 미치는 긍정적인 간접 효과는 혁신에 대한 HP의 다양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완화된다.
가설 4a: 혁신에 대한 평균 OP가 팀 성찰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는 혁신에 대한 OP의 다양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완화된다.
가설 4b: 평균 혁신 OP가 팀 성찰을 통한 팀 혁신에 미치는 부정적인 간접 효과는 혁신 OP의 다양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완화된다.

 

결과

Study 1 지지: 1a 1b 2a 3a 4a

Study 1 지지 x: 2b 3b 4b

Study 2 지지: 1a 3a 4a 4b

Study 2 지지 x: 1b 2a 2b 3b

 

→ 공통: 평균 HP가 팀 성찰 향상을 통한 팀 혁신과 정적관계가 있다. 또한, 평균 HP가 팀 성찰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HP 다양성이 낮을 때 더 강화되었으며, 평균 OP가 팀 성찰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OP 다양성이 낮을 때 더 강화됨.

→ 연구 2의 결과에 따르면 평균 HP와 평균 OP가 팀 성찰을 통한 팀 혁신에 미치는 조건부 간접 효과는 각각 HP 다양성과 OP 다양성이 낮을 때 더 강화됨. 이러한 매개 효과는 연구 1에서는 .058 수준에서 유의미하지 않았음

 

 

비판적 사고

본 연구는 팀원들의 혁신에 대한 평균 열정이 팀 혁신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그 과정에서 팀 성찰의 매개효과와 열정에 대한 다양성의 조절효과를 살펴 보고 있다. 본 연구는 팀 성찰을 통해 평균 HP와 평균 OP가 팀 혁신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밝혀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강박 증상이 스트레스 수준 등과 같은 부정적인 변인들과 정적 관계를 가지며 수행 감소 및 높은 이직의도와 상관이 있다는 지난 연구 결과들을 살펴 보았을 때 HP/OP 다양성과 같은 팀 구성 변인에서 나아가 팀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새로운 조절변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새로운 조절변인으로 목표상호의존성을 제시한다. 강박 증상은 불완전감, 정서조절곤란, 완벽주의 등과 상관을 보이는 변인으로 불완전함은 불안이라는 부정정서를 초래한다. 이로 인해 OP가 높은 종업원은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목표에만 몰두하여 협력 행동을 하지 않고, 동료들과의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본문에서 OP가 다른 측면과의 갈등과 상당한 비용을 유발한다는 설명과도 일치한다. 

 

목표상호의존성은 조직 구성원이 자신에게 주어지는 이익이 다른 구성원의 성공적인 목표달성에 의존한다고 인식하는 정도이다. 협력 및 경쟁이론에 의하면 조직 구성원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경쟁적인 목표를 가질 때보다 협력적인 목표를 가질 때 갈등상황에서 건설적인 방향으로 논의하며 팀에 대한 몰입이 증가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목표상호의존성은 강박적 일중독과 협력행동 간 관계에서 목표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구성원의 목표상호의존성을 높여 준다면 OP가 높은 종업원도 팀원들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팀 성찰 및 팀 혁신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하였다.

 

이에 따른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3a: 혁신에 대한 평균 HP가 팀 성찰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목표상호의존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강화된다.
가설 3b: 혁신에 대한 평균 HP가 팀 성찰을 통한 팀 혁신에 미치는 긍정적인 간접 효과는 목표상호의존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강화된다.
가설 4a: 혁신에 대한 평균 OP가 팀 성찰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는 목표상호의존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완화된다.
가설 4b: 평균 혁신 OP가 팀 성찰을 통한 팀 혁신에 미치는 부정적인 간접 효과는 목표상호의존성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완화된다.

 

이를 통해 팀의 구성뿐 아니라 목표상호의존성이라는 팀원 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구성원들에게 함께 달성할 공동의 목표를 부여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조직에 시사한다.

 

명민재, 유태용. (2019). 직무 불안정성이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중독의 매개효과와 목표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 지역과 세계, 43(2), 125-154.

 

 

1. 목표상호의존성을 높이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은 무엇이 있을까요?

조직 차원에서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에 대해 보상 제도를 마련하거나 구성원들이 협력적으로 일을 할 수 있는 업무 시스템 등 제도적인 장치를 설계할 필요가 있음

 

2. 목표상호의존성을 통해 OP가 높은 종업원의 강박이 더 높아질 수도 있을 거 같은데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일단 먼저 강박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OP가 높은 종업원의 원활한 팀 활동을 촉진하는 데 초점을 두고자 하였음. 강박의 대표적 증상으로 불완전감이 있는데, 이는 불안이라는 부정정서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OP가 높은 종업원은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목표에만 몰두하여 협력 행동을 하지 않으며 동료들과의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음. 따라서 OP가 높은 종업원의 협력행동을 높이기 위한 변수로 '목표상호의존성'을 제시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선행연구도 확인하였음